IT컨설팅/RFP(제안요청서)(3)
-
컨설팅의 시작과 끝, 제안요청서(RFP)
이번에는 컨설팅의 시작과 끝, 제안요청서에 대해 적어보겠다. 고객의 Pain Points는, 제안요청서에서 '이런저런 기능이나 업무 개선이 필요해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식으로 표현되며, 이는 고객의 요구사항이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requirement(s)다. 공공분야를 예로, 공공기관 담당자(컨설턴트 입장에서는 고객)가 컨설팅 제안요청서를 작성하고 사업 발주시 나라장터에 업로드한다. 이때 컨설팅에 필요한 '예산', 컨설팅 수행에 필요한 '요건'들을 작성하기 위해 컨설턴트의 의견을 구하기도 한다. 원칙적으로 고객이 작성해야 하는 부문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컨설턴트의 도움 없이는 쓰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구축 RFP: 컨설팅 수행 산출물의 마지막 '꽃' 컨설팅 수행시 마지막으로 작성해야 하는 산출물 ..
2023.08.06 -
컨설팅의 시작 : 제안요청서, CSR 파트
고객의 Pain Points는 제안요청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안요청서는 조달청의 나라장터에 있다. 각 국가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제안요청서를 다운로드 받아 제안요청 내용을 확인해보자. 특히, CSR 요구사항 부분이 컨설턴트가 핵심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부문으로 CSR 파트를 집중적으로 봐야된다. 컨설팅 요구사항, CSR(Consulting Requirements) CSR은 컨설팅 수행 대상이자, 고객의 Pain Points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하는 것으로 컨설턴트가 매우 중요하게 파악해야 한다. CSR은 또한 컨설팅 수행 산출물 검수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빠짐없이 준비해야한다.
2023.08.02 -
컨설팅의 시작 - 고객의 Pain Points
챗GPT에게 '컨설팅의 시작'은 무엇인지 물어봤다. Q: 컨설팅의 시작 A: 컨설팅은 기업이나 개인의 문제나 과제를 해결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전문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컨설팅의 시작은 아래의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1. 요구 분석: 고객의 필요와 문제점을 파악합니다. 2. 목표 설정: 문제를 해결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합니다. 3. 데이터 수집: 현황 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4. 현황 분석: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거나 기회를 찾습니다. 5. 전략 수립: 문제를 해결하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6. 실행 계획: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웁니다. 7. 실행 및 모니터링: 계획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모..
202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