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inside(99)
-
데이터의 활용 가치
데이터 자체로는 의미가 없기에, 이를 가공하여 Knowledge 형태로 바꿔서,. 인사이트를 도출해야한다.
2024.11.11 -
현황분석 결과 이슈가 없는 상황이라면??
정보화 컨설팅에서 현황분석 시 이슈를 도출하여, 이슈 기반으로 시사점(앞으로 이러이러해야된다는 점)을 도출한다. 시사점이 모여서 개선기회가 되고, 개선기회가 모여서 목표모델이 된다. 근데, 목표 모델의 출발점이 되는 이슈가 없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좀 이상하게 들릴 수 있는데, 이슈를 찾기 힘들거나, 아니면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유지보수 입장에서, 의도적으로 노출시키지 않거나 자체적으로 해결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슈로 보지 않는 것이다. 이런 경우, 관점을 바꿔 현황분석을 해야한다. 어찌됐듯 뭔가 개선 대상이 식별되어야 미래 모델 수립이 가능해지기에... (To be continued)
2024.11.10 -
비즈니스 vs IT 관점 데이터 거비넌스
IT 관점의 데이터 거버넌스가 데이터 품질, 데이터 표준, 데이터 구조를 대상으로 한다면, 비즈니스 관점의 데이터 거버넌스는, 데이터 전략/기획, 데이터 기반 서비스 발굴, 성과관리를 대상으로 볼 수 있다. 비즈와 IT간 데이터 거버넌스를 보는 관점이 다르다.
2024.11.09 -
데이터 거버넌스, 너란 존재
거버넌스. 사전적인 의미로는 관리체계로 볼 수 있다. 거버넌스에 대해 서로가 이해하는 게 다를 수 있기에 뜻을 명확히 해야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거버넌스라 하면, 시스템 운영 관점에서 데이터 품질관리, 데이터 표준관리를 관리하는 체계로 본다. 다만, 데이터 거버넌스 관점을 비즈니스로 보면 관리 대상이 달라질 수 있다.. (To be continued)
2024.11.08 -
[공지] 오늘부터 오블완 챌린지 시작(11.7~11.27)
오늘부터 블로그 글 작성 시작!글도 쓰고, 이벤트도 참여하고.^^
2024.11.07 -
컨설팅의 시작과 끝, 제안요청서(RFP)
이번에는 컨설팅의 시작과 끝, 제안요청서에 대해 적어보겠다. 고객의 Pain Points는, 제안요청서에서 '이런저런 기능이나 업무 개선이 필요해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식으로 표현되며, 이는 고객의 요구사항이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requirement(s)다. 공공분야를 예로, 공공기관 담당자(컨설턴트 입장에서는 고객)가 컨설팅 제안요청서를 작성하고 사업 발주시 나라장터에 업로드한다. 이때 컨설팅에 필요한 '예산', 컨설팅 수행에 필요한 '요건'들을 작성하기 위해 컨설턴트의 의견을 구하기도 한다. 원칙적으로 고객이 작성해야 하는 부문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컨설턴트의 도움 없이는 쓰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구축 RFP: 컨설팅 수행 산출물의 마지막 '꽃' 컨설팅 수행시 마지막으로 작성해야 하는 산출물 ..
2023.08.06 -
컨설팅의 시작 : 제안요청서, CSR 파트
고객의 Pain Points는 제안요청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안요청서는 조달청의 나라장터에 있다. 각 국가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제안요청서를 다운로드 받아 제안요청 내용을 확인해보자. 특히, CSR 요구사항 부분이 컨설턴트가 핵심적으로 수행해야하는 부문으로 CSR 파트를 집중적으로 봐야된다. 컨설팅 요구사항, CSR(Consulting Requirements) CSR은 컨설팅 수행 대상이자, 고객의 Pain Points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하는 것으로 컨설턴트가 매우 중요하게 파악해야 한다. CSR은 또한 컨설팅 수행 산출물 검수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빠짐없이 준비해야한다.
2023.08.02 -
컨설팅의 시작 - 고객의 Pain Points
챗GPT에게 '컨설팅의 시작'은 무엇인지 물어봤다. Q: 컨설팅의 시작 A: 컨설팅은 기업이나 개인의 문제나 과제를 해결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전문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컨설팅의 시작은 아래의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1. 요구 분석: 고객의 필요와 문제점을 파악합니다. 2. 목표 설정: 문제를 해결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합니다. 3. 데이터 수집: 현황 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4. 현황 분석: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거나 기회를 찾습니다. 5. 전략 수립: 문제를 해결하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6. 실행 계획: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웁니다. 7. 실행 및 모니터링: 계획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모..
2023.08.01 -
컨설팅의 정의
챗GPT에 물어봤다. Q: 컨설팅의 정의 A: "컨설팅"은 영어로 "consulting"의 한글 표기입니다. 컨설팅은 전문가나 전문기관이 특정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조언, 권고, 해결책 등을 제공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 조직, 개인 등의 특정 문제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적인 지원을 받기 위해 컨설팅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Q. IT컨설팅의 정의 A: "IT컨설팅"은 정보 기술 분야에 대한 전문 조언과 서비스를 제공한느 활동을 말합니다. IT컨설팅은 기업이나 조직들이 IT 전략, 시스템 구축, 응용 프로그램 개발, 인프라 구축 및 관리, IT 보안, 클라우드 서비스 등과 같은 정보 기술 관련 문제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 지식과 경험을 제공합니다. IT 컨설턴트는..
2023.07.31 -
컨설팅이란 무엇일까?
챗GPT에게 물어봤다. "하루마다 글 쓰고 싶어. IT 컨설팅 관련 주제를 추전해줘" ChatGPT 하루마다 글을 쓰는 연습은 생각을 정리하고 전문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IT 컨설팅 관련 주제 몇 가지를 제시해 드릴게요: 1. IT 컨설팅이란 무엇인가? - 기본 개념과 역사 탐구 2. 최신 IT 트렌드 분석 -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터, 인공 지능 등 3. 디지털 변환의 중요성 - 기업들이 디지털화를 추구하는 이유 4. IT 컨설팅의 가치 - IT 컨설턴트가 기업에 제공하는 가치와 효과 5.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구축 - 성공적인 IT 프로젝트를 위한 관계 형성 방법 6. 기술 선정의 중요성 - 기업의 요구사항과 목표에 맞는 기술을 선택하는 방법 7. IT 프로젝트 실패 사례 분석 - 주요 원..
2023.07.29